top of page
검색

구강관리의 목적 및 효과

  • 작성자 사진: Novel Gio
    Novel Gio
  • 2015년 10월 9일
  • 3분 분량

구강 관리 목적

풍요로운 생활을 원한다면 구강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풍요롭게 살기 위해구강 관리를 실시하는 최대의 목적은 QOL (삶의 질)을 높여 구강에서 전신의 건강 유지를 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입으로 식사를 하는 것은 몸이 건강하다는 증거입니다. 또한 가족이나 친구들과 즐겁게 대화할 수 있다면 매일 충실한 생활을 보낼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것을 먹고, 좋은 대화를 하며 건강하게 웃는 것은 살아 가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전혀 없는 생활을 상상 해보면 그 소중함을 실감 할 것이다.

당신의 소중한 사람이 어떤 삶을 원하는지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구강 관리의 효과

구강관리는 여러가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타액 분비의 촉진

구강내에 음식물 찌꺼기가 세균으로 덮여 있으면 침이 나오지 않으며, 구강이 건조합니다. 구강 내의 오염 물질을 양치로 제거하면 타액이 조금씩 나오게 됩니다. 또한 입안에 타액 분비라는 침이 많이 분비되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구강관리를 할 때 칫솔이나 손가락으로 입안의 침샘을 자극해 주면 침이 나옵니다.

발열 예방

개호 고령자에 대한 구강 보건의 흡인성폐렴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A에 비해 B에서는 발열 발생률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즉 구강관리를 할 수는 발열의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출처 / 요네 야마 우이들 : 개호 고령자에 대한 구강 보건의 흡인성 폐렴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일본의 학회지, 2001.

흡인성폐렴 예방

흡인성폐렴은 일반적으로 식도로 가야 할 음식이 잘못 기도로 들어가 버리는 것이 원인 것과, 입안의 타액을 삼킬 때 그 박테리아가 잘못 폐에 들어가 버리는 것이 원인으로 일어나는 2 종류가 있습니다. 노인에게서는 특히 수면 중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타액을 흡인해 버리는 경우가 많아 사망률이 높습니다.

구강관리는 흡인성폐렴을 예방하기

개호 고령자에 대한 구강 보건의 흡인 성 폐렴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A에 비해 B에서는 2 년간의 폐렴 발병률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 요네 야마 우이들 : 개호 고령자에 대한 구강 보건의 흡인 성 폐렴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일본의 학회지, 2001.

치매 예방

자신의 치아가 20 개 이상 있음

치아가 20 개 이상있는 사람에 비해 치아가 거의 없고 틀니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치매 발병 위험이 1.9 배 높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치아를 잃는 원인이 되는 잇몸 질환 등의 염증은 직접 뇌에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잃어버린 치아를 틀니로 보충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평소 자신의 치아를 유지 관리하는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2010 년 후생 노동 과학 연구 :神奈川歯科大学

음식물 씹는 회 수

뭐든지 꼭꼭 잘 씹는 사람에 비해 덜 씹는 사람은 치매의 발병 위험이 1.5 배 입니다. 씹는 힘의 저하는 뇌의 인지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치주질환에 의해 치아를 잃고 제대로 씹는 것이 어려워 뇌에 자극이 적어지면 뇌가 위축되어 치매에 걸리기 쉬워집니다.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도 잘 씹어서 입맛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 2010 년 후생 노동 과학 연구 :神奈川歯科大学

심장병 예방

건강한 사람에 비해 잇몸질환이 있는 사람은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잇몸 출혈이나 구강 점막에 상처가 나는것 등에 의해 구강내 치주 병균이 혈액 속으로 들어가면 동맥경화의 원인이 됩니다. 증상이 점점 진행함에 따라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등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뇨병 예방

당뇨병의 일보 직전의 증상을 가진 사람을 '경계형」이라고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혈당이 정상이었다 대상자가 경계 형이 될 비율을 잇몸 질환의 유무로 비교 한 결과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치주 질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중간 정도의 잇몸질환이 있는 사람은 경계형에 걸릴 위험이 2.1 배, 잇몸 질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심한 치주질환이 있는 사람은 경계형태에 걸릴 위험이 3.1 배 에 달합니다. 치주 병균이 혈액에 침투하여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장애가 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치주질환에 의한 잇몸의 염증이 당뇨병을 발병 또는 악화시킬 수 있음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습니다.

총 의료비의 절감

뭐든지 잘 씹는 사람에 비해 덜 씹는 사람은 치매의 발병 위험이 1.5 배

구강 건강이 유지되고 있으면, 치아를 잃을 위험이 당연히 낮아집니다. 치아가 많이 남아있는 사람은 치과 치료뿐만 아니라 총 의료비가 적게 든다는 데이터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치아가 남아있는 수가 많을수록 의과의 의료비를 포함한 총 의료비에 차이가 있습니다. 치아가 0-4 개 남아있는 사람은 연간 54만1,900 엔 치아가 20개 이상 남아있는 사람은 연간 36만4,600엔 그 차이는 17만7,300엔에 달한다. 전신의 건강관리로 이어질 구강관리는 결코 놓칠 수 없는 것이라고 증명하는 연구결과입니다.

출처 : 잔존 치아 수 · 치주염의 정도와 의료 진료비와 관련 (2005 년 카가와 현의 조사 결과)

 
 
 
Featured Posts
Recent Posts
Search By Tags
Follow Us
  • Facebook Classic
  • Twitter Classic
  • Google Classic

© 2014 by Samanta Jonse. Proudly created with Amazoncare

  • Facebook Classic
  • Twitter Classic
  • �유튜브 고전
bottom of page